안녕하세요. 좋은 소식과 행복을 전해드리고 싶은 워킹맘입니다.
이번 소식은 조금 놀라운 사건입니다. 마트 생수 발암물질이 연이어 터져 나왔습니다. 많은 분들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이고 또 다들 걱정하고 계실 사안이라 해당 내용 빠르게 전달드리고자 준비했습니다. 여러분들, 다들 마트에서 생수 구매해보셨을 텐데요. 요기서 의미하는 마트란 대형마트도 있지만 동네 중소형 마트와 편의점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 소매점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이런 곳에서 생수를 구매할 때 조금이라도 요기서 마셔도 괜찮은 건가 생각이 조금이라도 들었던 적 있으신가요? 의외로 많은 분들이 마트에서 생수를 구매할 때 이것 때문에 고민하고 걱정하는 분들이 계시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그렇게 우려했던 일들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된 일인지 하나씩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원에서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인천시 경기도 등을 대상으로 먹는 물 관리 실태 전반을 감사한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감사원이 서울 시내 소매점 272곳을 현장 점검한 결과 37%에 달하는 101곳에서 먹는 샘물 페트병을 이곳에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어디인지 감이 오시나요?
-마트를 자주 다녀보시는 분들이라면 아마 이곳에 있는 생수병을 한 번 이상 목격
저도 자주 목격했습니다. 그곳은 바로 야외 직사광선 환경인데요. 마트나 편의점 앞에 햇볕 쨍쨍 나는 곳에 생수병이 쭉 쌓여있는 걸 지나가면서 본 적이 있는데 아예 밖에다 쌓아놓고 팔더라고요. 그때마다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저 같은 경우는 그런 생수를 보면서 혹시 균이 번식하지 않을까? 괜히 그런 걱정이 들더라고요. 우리가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뭐든지 다 직사광선을 피해서 두라고 적혀있잖아요. 그런데 생수가 거의 일광욕을 하다시피 서있으니깐 저래도 되는 건가 싶긴 했습니다.
그런데 결국 그럴 때마다 괜찮으니깐 저렇게 팔겠지, 큰 문제없으니까 저렇게 유통하겠지 그냥 이렇게 생각하고 말았는데요. 그런데 최근 충격적인 내용이 발표됐습니다. 페트병에 담긴 생수가 고온이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발암 물지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 발생할 수 있는데도 안전 기준이 부족하고 유통과정이 허술하다는 감사원의 지적이 나온 건데요. 즉 문제가 없으니깐 저렇게 팔고 있었던 게 아니라 관련한 안전 기준이 부족해서 저렇게 보관을 하고 판매를 해도 문제가 없었던 겁니다.
-감사원 입장
감사원에서 샘물 페트병을 야외 직사광선 환경에 보관하는 소매점 제품을 표본 수거하여 여름철 오후 2~3시 자외선 강도와 50도의 온도 조건에 놓고 15~30일이 지났을 때 유해물질을 살펴봤다고 합니다.
그 결과 3개 제품에서 중금속 안티몬이 리터당 최대 0.0043mg 검출되어서 호주 기준을 초과하였고, 발암물질 폼알데하이드 리터당 최대 0.31mg 검출이 되어서 일본 기준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특히 폼알데하이드는 노출 시 접촉성 피부염이나 호흡기/눈 점막 자극을 일으키는 품질로 세계 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무려 1급 발암물질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마시는 생수에도 이런 발암물질이 검출될 위험이 있다고 하니 이거 정말 충격적이고 걱정이 됩니다.
-환경부 입장
그런데 이 검사 결과에 대해 환경부는 반박이 나섰는데요. 왜냐하면 감사원이 극단적인 상황에서 실험을 하였다는 건데요. 감사원이 실험한 조건이 세계에서 가장 강한 기준을 근거로 들었기 때문에 기준치 위반을 넘어간 거라고 지적했는데요. 우리나라 기준치는 초과한 게 아니라고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준치를 초과했다는 것이죠. 국내 먹는 물 관리법에 따른 먹는 샘물 감시 기준으로 보면 검출량이 기준치에 통과되는 양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우리나라에서는 문제가 없다는 것인데요. 감사원은 환경부가 식용 기준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재반박했고 환경부는 소매점의 생수 관리까지 강제할 수는 없다고 얘기합니다. 이렇게 감사원과 환경부가 대립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시민들이 야외에 보관한 생수를 먹어도 되는 건가? 의문에 대해서 두 곳 모두 똑 부러진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재사용 기준이 없어?
결국 이런 생수를 사 먹는 시민들만 불안한 상황입니다. 물론 여기서 오해하시면 안 되는 게 멀쩡한 생수가 그렇다는 게 아닙니다. 유통과정에서 직사광선에 오랫동안 햇볕에 노출되어 있는 생수에 대해서 이러한 발암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거죠. 또한 감사원은 2020년 기준 27개 업체에서 페트병을 자체 제조하고 있어 업체별로 품질이 다르고 유해물질 발생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환경부가 안전성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이 뿐만이 아닙니다. 대용량 물통도 문제가 됐는데요. 감사원이 회수/재사용하는 대용량 PC물통에 먹는 샘플 제품을 제조하는 업체 3곳을 방문해봤더니 재사용 기준이 따로 없어서, 작업자가 냄새나 눈으로만 재사용과 폐기 여부를 판단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생수 올바르게 마시는 방법
요즘 같은 시대에 눈으로 이런 걸 보고 있다니 참 답답한 노릇입니다. 관련 규정이 없으니깐 그렇게 하는 거겠죠. 환경부는 올해 5월 유통 사과 지자체에 페트병에 든 먹는 샘플에 대한 위생관리를 강화하도록 요청했고 세부 기준 마련을 준비 중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생수 관련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아무리 잘 관리된 생수를 마셨다 하더라도 평소 마실 때 이렇게 마신다면 말짱 꽝인데요. 페트병에 입 대고 마시기입니다. 실제로 페트병임 물이 남았다 하더라도 하루가 지나면 마시지 않는 게 안전하다고 하는데요. 한국수자원공사 실험 결과에 따르면 페트병 뚜껑을 연 직후에는 물 1mL당 세균 수가 1마리였지만 한 모금을 마신 후엔 900마리 하루가 지난 후 무려 4만 마리 이상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만 마리면 먹는 물 기준치의 무려 400배를 초과한 수치라고 하는데요
또한 날이 더운 여름철에는 세균이 100만 마리로 늘어나는 데 4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하니 페트병에 남은 물 아깝다고 아끼시지 마시고, 그냥 버리시는 게 안전하겠습니다. 물론 컵에 따라 마시는 건 비교적 안전하다고 하니 꼭 컵을 이용하시고, 입은 절대 대지 말아야 한다는 점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생수에도 유통기한이 있는데요. 먹는 물관리법에서는 생수 유통기한을 6개월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앞서 말씀드렸듯이 고온, 직사광선에 오래 노출될 경우 발암물질 등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니 꼭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모두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더욱더 알찬 정보를 가져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만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